퇴근후아마존

퇴근후 아마존

sellersupport 2023. 6. 15. 10:21
반응형

챕터 2.  아마존 이제 나도 CEO다. 

 

2.  데이터를 통한 아마존 시작 

01 데이터를 믿어라 - 감에 의존한 접근은 의미가 없다

02 무엇을 팔것인가?

03 잘되는 아이템 따라가면 절반은 간다

04 데이터 기반 시장조사 - PMF 찾기

 

 

3 고객중심의 사로고 생각해라

01 리뷰는 생각보다 중요하다

02 고객의 리뷰를 보면 시장을 알 수 있다

03 초반 리뷰가 승패를 좌우할 수 있다

04 리뷰를 받기위한 방법은 따로 있다

- 아마존 키워드 광고의 최적화, 고객 리뷰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프롤로그 

김대원

(현)언더독 팀장

(전)슈피겐 코리아 아마존 다이렉트 세일즈팀 7년 경력

아마존 모바일 악세사리 Best Seller

 

 

<아마존 TOP 셀러에게 듣는다> 라는주제로 발표했던 김대원 팀장입니다.

 

제가 아마존 세일즈를 처음 시작할 때 느낀 어려움을 비슷하게 겪고 있을 셀러들을 위해 책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8년 간 아마존 세일즈를 하며 배운 내용들을 진솔하게 풀어내려 합니다. 제 이야기가 독자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모바일 액세서리계의 새역사, 슈피겐코리아

제가 7년동안 근무했던 슈피겐코리아를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많은 분이 ‘슈피겐’ 이라는 이름만 보고 독일계 회사로 착각하십니다. 슈피겐코리아는 2009년에 설립된 한국 기업입니다. 휴대폰 케이스, 무선 충전기, 차량용 액세서리와 같은 모바일 액세서리를 만들죠. 2014년에 업계 최초로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고, 올해로 창립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지난 10년간 슈피겐이 아마존을 통해 올린 누적 매출은 약 6천억 원입니다. 전체 매출 중 아마존에서 발생한 매출이 65%를 차지합니다. 온라인 매출만 놓고 보면 90%에 육박하니, 아마존의 마켓파워가 남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죠.

현재 신규 법인 언더독은 Amazon 특화된 전문 조직으로 미국 아마존 유통판매에 대한 노하우를 가지고 국내에서 좋은 퀄리티의 제품을 미국 아마존을통해 수출 판로를 개척할 목적을 가지고 설립 되었습니다. 

해외에서 통할 상품임에도 복잡한 절차로 수출을 어려워하는 제조업체의 수출판로를 열어드리고자  현재 국내제품 위주로 아마존 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퇴근후 아마존-

한때의 우리나라에는 평생직장 이 당연하던 시절이 있었던거 같다. 20년이상 한회사에서 수십 년 동안 일을 하는 것이 당연하고 오래 근무한사람이 성실하고 능력 있는 사람처럼 대우받았던것 같다. 물론 한직장에서 오래 근무한다는건 대단한 일이다. 하지만 . 

나는 20대 중반 첫회사에 입사할때부터 마음먹은게 있다. 40대 이후에는 직장생활을 하지 않으리라 줄곧 마음속으로 외쳐왔다. 

 

처음 입사해서 직장생활에 적응하기란 정말 어려웠었던것 같다. 나는 개인적으로 술이 안맞는 체질이라 입사해서 전체 회식을 하는데 사장님이 입사한 사원들 대상으로 술을 한잔씩 따라 주는데 나는 그당시 “중국에서 선물받은 고량주를 따라주었다” 그술을 마시면 정말 입원할수도 있어서 전후 사정 설명없이 저술 못마셔요 라고 거부한적이 있었다. 그다음날 상사분들께 엄청 혼났던 기억이 있다. 개념없는 행동이였다고 생각 되겠지만 나로써는 생존이 걸린 문제였기에 그냥 웃어 넘기기엔 심각한 고민 이였다. 

그나마 해외영업 포지션이였기에 업무적으로는 술을 마실일이 많지 않았지만 회식이라던가 

손님이 오면 접대자리에서 술을못마시는 나는 항상 어려움을 겼을수 밖에 없었다. 이렇게 우여곡절끝에  첫회사에서 2년 근무하고 다음직장은 술을 안마시는 조직을 찾다가 슈픽겐 코리아라는 젊은 조직에 입사하게 되었다. 슈피겐코리아에서 아마존 다이렉트 세일즈 판매를 7년정도 근무하다가 퇴사했다. 지금회사가 마지막인것처럼 일하고 있는중이지만 현재 나이는 38살이다. 내가 줄곧 마음속으로 외쳐왔던 40대가 2년앞으로 다가왔다. 

 

나는 40대 이후에 무엇을 할수 있을까? 현재 내가 잘할수 있고 앞으로도 잘할수 있는 퇴사후 아마존에 대해 이야기 해볼려고 한다. 

 

반응형